본문 바로가기
Study/Biology

광호흡(Photorespiration)

by 다나리 2020. 5. 26.
반응형

광호흡이란?

광호흡(Photorespiration)도 호흡과 마찬가지로 O2가 흡수되고 CO2가 방출되는 현상입니다.

다만 빛 존재 하에서 호흡이 일어나는 것이 광호흡입니다. 이 광호흡은 Rubisco의 산소화효소 활성에 의해 발생합니다.

 

광호흡의 특징

광호흡의 특징은 정상적인 미토콘드리아의 호흡과 달리 ATP를 생성하지 않으며 도리어 ATP를 소모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따라서 캘빈회로를 통해 탄소원으로 고정할 수 있는 CO2를 광호흡으로 방출하므로 광합성 효율을 감소시키게 됩니다.

 

식물은 광호흡을 왜 할까?

ATP를 소모하고 광합성 효율을 감소한다는데, 왜 식물은 광호흡이라는 비효율적인 걸 하는 것일까요?

이 문제에 대한 정확한 답은 아직 없습니다.

다만 Rubisco가 대기에 CO2는 많았어도 O2는 없었을 때 진화하였기에,

당시 두 가스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게 생물의 생존에 큰 문제는 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또한 CO2와 O2가 동일한 활성부위에 작용하므로,

후에 대기 중의 O2농도가 증가하여 비율이 커졌더라도

이미 효소의 특성이 확립되어

광호흡을 하지 않을 수는 없지 않을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광호흡 과정

광호흡: ct-퍼옥시좀-mt

본디 Rubisco는 RuBP에 카르복실화효소(carboxylase)활성으로 CO2를 결합시키거나,

산소화효소(oxygenase)활성으로 O2를 결합시킬 수 있습니다.

그런데 덥고 건조한 햇빛이 강한 날이면 대부분의 식물들이 수분 손실인 증산을 억제하기 위해

기공을 일부 닫습니다.

일부 기공이 닫히게 되면 잎 공간 내의 CO2 농도는 감소하고 명반응에 의한 O2 농도는 증가합니다.

또한 Rubisco의 산소화효소 활성은 고온에서 증가됩니다.

결국 이러한 상황은 Rubisco에 의한 광호흡을 조장하게 됩니다.

 

Rubisco의 카르복실화효소와 산소화효소 활성의 균형은 CO2와 O2의 상대농도에 의존하며,

만약 RuBP에 O2를 결합시킬 경우 광호흡이 유발됩니다.

 

덥고 건조한 기후의 식물 진화

덥고 건조한 기후에 생활하는 여러 식물 종에는

광호흡을 최소화하고 캘빈회로를 최적화하는 탄소고정의 다른 방식을 진화시켰습니다.

이러한 광합성 적응 중 가장 중요한 두 가지가

C4 광합성과 CAM 광합성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